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SSD M.2 NVME 3.0 4.0 5.0 차이점 비교

by wiseIT 2025. 2. 16.
반응형

SSD M.2 NVME 차이점 비교

NVMe(Non-Volatile Memory Express) SSD는 PCIe(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초고속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하는 저장 장치이며, 데스크탑 노트북등에서 저장장치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번글에서는  SSD M.2 MVME PCIe 3.0, 4.0, 5.0 버전의 속도와 차이점 등을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NVMe 3.0 vs 4.0 vs 5.0 주요 비교표

  NVMe 3.0 NVMe 4.0 NVMe 5.0
1TB 기준 가격
(하이닉스기준)
14.2만원 14.8만원 28.8만원
최대 대역폭 (x4 레인 기준) 4GB/s 8GB/s 16GB/s
실제 최대 속도 (읽기/쓰기) 3,500MB/s 7,500MB/s 14,000MB/s
발열 보통 다소 높음 (방열판 필요) 매우 높음 (방열 대책 필수)
지원 플랫폼 구형 & 보급형 메인보드 최신 메인보드
(B550, X570, Z590 이상)
최신 하이엔드 메인보드
(Z690, Z790, X670, B760 이상)
사용 환경 일반적인 작업, 게이밍 고사양 게이밍, 영상 편집 AI 연산, 8K 영상 편집, 전문가용

 

 

NVMe 3.0 (PCIe 3.0) – 가성비 & 일반 사용자 추천

 

  • 일반적인 작업 (웹 브라우징, 문서 작업, 가벼운 게이밍) 에 충분한 성능
  • PCIe 4.0 & 5.0 대비 발열이 적고, 가격이 저렴함
  • 오래된 PC, 보급형 노트북과도 호환성이 뛰어남
  • PCIe 4.0 & 5.0에 비해 속도가 절반 이하
  • 최신 게임 & 영상 편집 작업에서는 병목 현상 발생 가능
대표적인 제품   SK 하이닉스 P31
  삼성전자 980
  마이크론 Crucial P3

 

 

NVMe 4.0 (PCIe 4.0) – 게이밍 & 크리에이터 추천

 

  • 최신 고사양 게임 & 4K 영상 편집에 적합
  • PCIe 3.0 대비 2배 빠른 속도로 로딩 시간 감소
  • 최신 AMD & Intel 메인보드와 호환성 우수
  • PCIe 3.0 SSD 대비 가격 조금 비쌈
  • 발열이 높아 방열판 필수 (히트싱크 필요함)
대표적인 제품   SK 하이닉스 P41
  WD BLACK SN850X
  삼성전자 990 PRO

 

 

NVMe 5.0 (PCIe 5.0) – 전문가용 & 미래 대비

 

  • 8K 영상 편집, AI 머신러닝,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적합
  • PCIe 4.0 대비 2배 이상 빠른 속도
  • 최신 인텔 & AMD 하이엔드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
  • 가격이 매우 비싸며, 소비 전력이 높음
  • 고성능 방열판 필수 (일반 히트싱크로는 감당 불가)
  • 일반적인 게이밍 & 문서 작업에서는 과한 성능
대표적인 제품   SK 하이닉스 P51
  시게이트 파이어쿠다 540
  마이크론 Crucial T705

 

 

정리

SSD M.2 NVME 3.0 4.0 5.0 차이점을 비교해 드렸습니다. 3.0과 4.0의 가격이 비슷해 졌기 때문에 현재 실사용 기준으로는 PCIe 4.0이 가장 효율적인 선택이며, 향후 PCIe 5.0이 대중화되면 점진적인 업그레이드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노트북이라면 발열이 가장 적은 NVME 3.0 제품을 선택하는것도 좋은 선택이 될것입니다. 

 

 

반응형

댓글